나스닥100지수를 구성하는 종목을 편입한 고배당(연10%상회), 월배당의 커버드콜 OPEN-END ETF이다. 장점이자 단점은 나스닥100지수보다 진폭이 작다는 것. (오를때도 훨씬 덜 오르고, 떨어질 때도 조금 덜 떨어진다)
펀드에 대해서는 https://www.globalxetfs.com/funds/qyld/ 에 들어가면 더 많은 정보를 확인 할 수있다.
그러면 나스닥100지수는 그동안 꾸준히 우상향을 해왔는데 최근 5년 간의 차트는 어떻게 되었을까?
왼쪽에 최근 5년간의 QQQ와 QYLD 의 토탈리턴차트를 비교하여 보면 QQQ의 수익이 3배는 높다는게 확인되었고,
앞으로도 계속 나스닥이 상승한다고 볼 때 QYLD보다는 QQQ에 투자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된다.
QYLD 주가만을 가지고 본다고 하면 처음 펀드가 나왔을 때 주가보다 떨어진 것으로 확인되지만, 토탈리턴차트로 비교하면 QYLD역시 우상향하고 있다. 변동성이 적고 월마다 높은 배당이 들어오기 때문에 현재 은행금리와도 비교해 보면 충분히 매력적이긴하다.
추가로, QYLD의 NAV차트는 https://www.globalxetfs.com/funds/qyld/ 에 들어가서 PERFORMANCE HISTORY 옆에 빨간글자를 누르면 주가가 프리미엄인지 디스카운트 상태였는지를 차트로 확인할 수 있다.
지난번에 CEF(Closed-end fund)에 관하여 글을 적은 적이 있는데 CEF의 경우는 펀드를 만들때부터 주식수가 정해져 있어 NAV를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지만, 개방형인 QYLD펀드의 경우는 참고만 하면 될듯하다.
![]() |
![]() |
이 글은 투자를 권하는 내용이 아니며, 잘못된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. 투자에 대한 판단은 각자가 하셔야 합니다.
ARI(아폴로 커머셜) 투자일기 (0) | 2020.10.18 |
---|---|
QYLD 투자일기 (0) | 2020.10.01 |
연금저축펀드 (0) | 2020.05.24 |
CEF(Closed End Fund) 에 대해 알아보기 (5) | 2020.05.10 |
수익률이 뚝뚝..미국 부동산 리츠[ REITs] (0) | 2020.03.21 |
댓글 영역